Bongta      

제 5장 반전형 봉도표(Ⅰ) - 4

주식/봉도표 : 2008. 2. 22. 11:28


우산형과 역우산형

우산형과 역우산형은 봉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봉형이다.
우산형은 망치형과, 역우산형은 역망치형과 모양이 같다. 그러나 망치형 (역)이 저가권에서 나타나 상승 반전형으로 분류됨에 반(反)하여 이들은 고가권에서 나타나 하락 반전형이 됨이 다르다. 이 형도 역시 수염이 한 쪽 방향에만 나타나야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즉 우산형은 아랫 수염만이 역우산형은 윗 수염만이 존재하여야 한다. 하락 반전의 세기도 수염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렇듯 양자는 출현 위치에 따른 구별 외에 일반적인 반전 원리는 거의 같다. 망치형과 역망치형의 구별이 다소의 성과 차이 외에는 실전상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듯이, 우산형과 역우산형의 구별도 실전에서는 별 실익이 없다. 다만 (역)망치형과 (역)우산형의 구별만이 중요한 과제이다. 같은 모양인데 출현할 당시의 주가 추세 상태에 따라 정반대로 규정되므로 까다롭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아래 기준에 따라 분별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 (역)망치형과 (역)우산형의 구별 기준  

① 하락 추세 중에 나타나면 (역)망치형이고 상승 추세 중에 나타나면 (역)우산형이다.
    추세는 장, 단기 구별이 없다.
    예컨대 2 ~ 3일간의 하락세(상승세)도 하락 추세(상승 추세)로 규정한다.
    이는 봉도표가 장기 전략용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단기적인 실전에
    전술적으로 응용되기 쉽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② 추세선을 하락 이탈하여 나타나면 (역)망치형이,
    상방 이탈하여 나타나면 (역)우산형일 경우가 많다.  

③ 전번 지지선  부근에서 출현하면 (역)망치형이,
    저항선  근처에서 나타나면 (역)우산형이 되기 쉽다.

④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전일의 봉이 음봉일 때 나타나면 (역)망치형, 
    양봉일 때 나타나면 (역)우산형으로서의 신뢰성이 높다.

우산형을 보면 현재 시장은 강세를 띄고 있어 상승 분위기가 충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형이 나타난 날은 시세가 크게 밀렸다가 종가 부근에 다시 반등하여 회복된 모습이다. 이제까지의 추세에 반하여 정리 매물이 출회되었다는 사실이 무엇인가 시장이 불안하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당일로 회복되었는데 과연 하락 반전형이라고만 할 수 있을까 ? 만약 다음 날 시세가 낮게 출발한다면 이제 비로서 전일(우산형)의 매입 세력은 걸려 든 격이 된다. 반면 당시 정리 매물을 내놓은 세력들은 손 빠른 승리자가 된다. 특히 우산형 다음 날의 봉형이 대음봉이거나 하락 갭을 형성하면 완연한 하락 추세로 반전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형이 나타날 경우, 그 형태의 유사성과 고가에서 걸려든 모양을 빗대 흔히 목을 매달았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아울러 효수형(梟首型) 또는 교수형(絞首型)이라는 별호(別號)가 있다.
역우산형은 우산형이 뒤집힌 모양이다.
상승 추세가 이어지며 장중 큰 시세를 내었다가 종장에 다시 시초가 수준으로 되돌아 온 모습이다. 바꾸어 말하면 장중 나타났던 상승세가 유지되지 못하고 실패한 격이다. 이 형은 특히 상승 갭을 이루며 나타나는 경우를 이상적인 것으로 본다.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하늘에서 나타난 긴 (윗)꼬리를 비유하여 유성(流星)이라 달리 불리기도 한다.

♧ 봉형 인식 기준

① 짧은 실체여야 한다.
    실체의 음, 양은 중요하지 않다.

② 우산형은 긴 아랫 수염이 역우산형은 긴 윗 수염이 하나씩 달려 있다.

③ 우산형의 경우에 윗수염, 역우산형의 경우에는 아랫 수염이 동시에 달려 있어서는 안된다.
    추가로 붙은 수염은 극히 짧은 경우에는 허용될 수 있으나 길어질수록 패턴 영향력이 떨어진다.

④ 수염의 길이는 실체의 길이보다 사뭇 길어야 한다.
    통상 실체 길이의 2배 이상을 최소한 초과하여야 한다.
    특히 역우산형은 문헌에 따라 3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⑤ 장기간 주가가 상승한 고가권에서 나타나야 한다.

⑥ 단일봉이기 때문에 후확인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즉 익일 또는 근일 내에 하락형 봉이 추가로 나타나야 한다.

⑦ 수염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실체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신뢰성이 높다.

⑧ 문헌에 따라서는 우산형(역우산형)이 추세선 상의 위에 위치하여 
    나타나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후확인 작업이 병행되면 그렇지 않아도 된다.

⑨ 역우산형의 경우 전일의 대양봉과 함께 나타나야 한다는 이론도 있다.
    이 경우 단일봉형이 아니고 복합2봉형이 되는 셈인데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나
    반전 가능성은 훨씬 높다.

⑩ 문헌에 따라서는 역우산형은 확률 높은 반전형으로 보지 않는 경향이 엿보인다.
    조사한 통계의 결과에 따라도 우산형에 비해서는 반전력이 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⑪ 역우산형의 경우 전일 상승 갭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이상적인 것으로 본다.
    ( ⑨번과 함께 보면 대양봉 이후의 상승 갭 )
    그러나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익일 하락 갭이 나타나는 경우,
    특히『저녁별』형이라 부르며 강형의 하락 반전형이 된다. 
 
♧ 우산형(역)과 망치형(역)에서의 실체와 수염의 의미 고찰

이들은 모두 짧은 실체와 긴 수염을 갖고 있는 점에서 같다. 실체와 수염은 각기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실체가 짧다는 것은 매수세이든 매도세이든 이제껏 주도하여 왔던 주도세가 제 갈 길을 몰라 일시 멈추고 관망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형상화된 것이다. 반면 수염은 이제까지의 추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잉태되고 있음을 표출한 것이다. 합하여 풀이 하면 이들 형의 출현은 이제까지의 주 추세가 멈추고( 실체에 의해 ), 반대 방향( 수염에 의해 )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충만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 제 3장 수염연구 참조 ]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통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계를 살펴 보자.

1. 하락기에 우산형이 나타나면 92.76%, 역우산형은 90.12%의 평균 적중률로 하락 반전한다.
   수익률은 우산형이 -7.73%, 역우산형은 -6.89%의 평균 수익률로 우산형의 성과가 더 높다.
   망치형(역)에 비해 적중률이 높은 반면 절대 수익률의 크기는 작다.

2. 상승기에 우산형이 나타나면 58.53%, 역우산형은 54.87%의 평균 적중률로 하락 반전한다.
    수익률은 우산형이 2.39%, 역우산형은 3.72%의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
    하락 반전이 크게 성공했다 할 수 없다. 때문에 본패턴들은
    대세 하락 (主)추세에서 나타날 때 적용하여야 한다.

3. 지표 필터링을 아울러 활용하면 훨씬 높은 성과를 얻어낼 수 있다.
    하락기의 우산형은 평균적으로 97.15%의 높은 적중률과 -10.72%의 수익률을,
    역우산형은 92.71%의 적중률, -8.66%의 수익률을 시현했다.
    반면 상승기의 우산형은 60.46%의 적중률과 1.45%의 수익률을,
    역우산형은 57.57%의 적중률, 3.20%의 수익률을 시현했다.
    (지표 필터링은 이격률 지표(DPTb형 제시)가 천정 조건(112%이상)을
    만족할 때의 경우만 검증 대상으로 추출한 방법을 말한다.

4. 우산형이 역우산형보다 성과가 좋았다.
    흔히 알려진 윗수염은 매도력, 아랫 수염은 매수력으로 작용된다는 설이 여기서도 부정되었다.
    이는 고가권에서의 아랫 수염이 매수력의 존재를 나타내기 보다는
    팔아치움(sell off)의 의미가 강함을 나타낸다 하겠다.
    반면 저가권에서의 윗 수염은 망치형(역)에서 보았듯이 매도 세력의 존재를 나타내기 보다는
    회복 또는 반등(rally,rebound)의 의미가 짙다 하겠다.
    이는 봉도표의 음양이 표리 관계를 갖고 있음의 또 다른 증거라 하겠다. 

5. 실체가 없는(시가와 종가가 동일) 경우에 대한 조사는 자료가 넉넉치 못하나
    우산형의 경우에는 실체가 있는 것에 비하여 강 반전형임이 엿보인다.
    반면 역우산형의 경우에는 반전력이 아주 미약하거나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렇듯 역우산형의 반전력은 우산형에 비하여 훨씬 약형으로 판명되었다.
    아랫 수염 없이 긴 윗수염만을 가진 시종동가형을 비석(碑石)형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옛 고전에 따르면 이 형은 땅에서는 발견되지만, 하늘에서는 나타날 수 없다 하였다.
    아닌 게 아니라 비석을 땅에 세우지 공중에 세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는 이 형이 바닥에서의 상승 반전형이 될지언정 천정에서 하락 반전형이 되기 어렵다는 것인데,
    실증 결과도 이를 일면 지지하고 있다 하겠다. 

6. 실체의 음, 양에 따른 차이는 없다.
    음봉을 조금 더 강형으로 보기도 하나 일관된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7. 수염의 길이에 따른 적중률과 수익률 차이도 주의를 기우릴 만하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수염이 길수록 역시 적중률과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ongta LicenseBongta Stock License bottomtop
이 저작물은 봉타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행위에 제한을 받습니다.
주식/봉도표 : 2008. 2. 22. 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