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ta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소요유 : 2008. 6. 7. 18:30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이를 흔히 육근(六根)이라고 한다.
지금 이 자리에서, 나는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육근, 십이처, 오온(五蘊)이니 하는 불교의 근본 가르침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안이비설신의’에 미쳐 그저 나름대로 떠오르는 생각을 떨구어 보고자 한다.

우선, 안-이-비-설-신-의
우선 그 순서에 주목하며 그 대경(對境)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을 염두에 두자.

눈(眼)으로는 색(色)을 본다.
이 때, 색이란 지수화풍 즉 물질 정도로 생각해도 되지만,
물자체(thing in itself)가 아니라 나의 감각, 인식기관을 통해 인식된 것을 뜻한다고 보아야,
불설(佛說)의 가르침에 가까이 다가섰다 할 것이다.
(그런데 물자체라 부를 만한 실체가 과연 있기나 있는가 ?
물자체를 알 수 없는 것이라면,
물자체를 상정하는 것조차 옳은 노릇인지 또한 장담할 수도 없지 않은가 말이다.)

부득불 설하자니 이리 풀어낼 밖에 더 나은 도리가 없을 터,
하여간, 마찬가지로 이하의 ‘이-비-설-신-의’ 역시 ‘성-향-미-촉-법’에 각기 對하여 인식한다.
이런 육근의 육경을 대상으로 한 인식작용을 육식(六識)이라 부른다.
이렇듯 인식하는 주체와 인식하는 대상이 나뉘어져 설명되고 있지만,
실인즉 삼라만상 일체는 인식될 뿐인 것이지,
별도의 실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점이 불교, 특히 유식(唯識)의 가르침이리라.
이리 볼 때, 색성향미촉법은 별도로 존재하는 물질세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실은 인식내용으로 보아야 할 것이니 곧 마음의 작용 결과라 할 것이다.
다만, 이것에 매어 곧 색성향미촉법의 유.무(有無)를 말하고 있다고 지레 단정할 필요까지는 없다.

얘기하고자 하는 것이 이런 주제가 아닌즉, 이쯤 설게 풀어두고 본설로 들어간다.
안-이-비-설-신-의 이 순서에 착목해보자.
‘안’을 맨 선두에 둔 까닭은 무엇인가 ?
그것은 안식(眼識)이 다른 것 보다 더 빠르고 즉각적이기 때문이다.
보통 인간이 외물을 지각할 때 소리보다는 색, 형에 더 의지한다.
이는 ‘눈’을 통한 지각기능이 다른 기능주체 보다 상당히 빠른 지각 속도를 가지고 있고,
외물의 象을 구상화하여 인식주체에 전해주는데 능하기 때문이다.
이하의 이-비-설-신-의는 차서로 그 정도가 더디고, 구상력이 즉감적이지 않다.

그런데 문제는 안식(眼識)이 나머지 식에 비하여 오차가 가장 많다는 것이다.
이하 역시 차서(次序)를 따른다.

아래 그림들을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들은 ‘눈’을 통해 상당량의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한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그대로 믿기에는 위험이 따른다.
가령 중간에 보이는 격자무늬의 그림에서 격자를 이루는 선들은 모두 수직, 수평선들이다.
하지만 하나같이 사선으로 보이지 않는가 말이다.
보는 이의 눈이 바르지 못한 것인가 ?
아니면 실제의 세계가 본시 그런 것인가 ?
의심없이 의지하였던 눈에 보이는 현상이 그리 신뢰할 수만은 없는 것이라면,
우리는 도대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모든 것을 의심하여야 하는가 ?

도 닦는 이들이 동굴 속에 틀어박혀,
눈을 감고, 귀를 닫으니 곧 폐관(閉關)하는 사연은 바로 이런 것 아니겠는가 ?
안이비설신의 모두 믿을 바 없을진대,
제 눈을 어찌 믿을 것이며,
귀 밝다 어찌 자랑할 수 있겠는가 ?
하니, 차라리 빗장을 닫아 걸고(止), 내관(內觀) 하자는 것이리라.

또한 귀는 어떠한가 ?
여기 재미있는 실험이 하나 있다.
아래 링크를 따라 자신의 가청주파수 청음능력을 테스트해보기 바란다.

1) http://www.ultrasonic-ringtones.com/
2) http://masudayoshihiro.jp/software/mamimichk1010.zip  

mamimichk1010.zip

 
인간의 가청 대역폭(band width)이 20-20,000Hz라고 하는데,
나이가 들어가면 특히 고주파 영역은 점차 잘 듣지 못하게 된다.
언젠가 본 기사에 따르면 미국 어린 아이들이 선생들이 듣지 못하는 고주파 벨 소리를
핸드폰에 내리받아 두고 마음껏 핸드폰을 이용한다고 한다.
아이들끼리는 벨 소리를 들으나, 나이 많은 선생은 이를 듣지 못하니
이 또한 영악한 아이들의 소견으로는 제법 재미있는 놀이가 되겠다 싶다.
개인별로 이리 물리적인 감수능력(感受能力)의 편차가 존재하면서도,
인간이 노소 불문 언어소통이 가능한 것은
소리가 아니라, 소리가 지시하는 그 내용, 즉 decoding된 정보를 상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 ☞ 2008/02/15 - [소요유/묵은 글] - code - ①)
하지만, decoding에는 또한 심리적 bias가 상존하니,
귀로 들어온 정보의 개인적 해석행위를 통해 비로소 성립되는
耳識의 내용은 실로 청자의 주관적 실재라 할 뿐.

또한 생각해보건대, 감각기능 간의 차이뿐이 아니다.
오욕칠정 감정내에서도 상호 교착, 혼동, 은폐 현상이 나타난다.

이 생각의 꼬리를 쫓아,
이야기 물꼬를 잠깐 옆으로 터내 흘려내본다.

한나라 유방이 죽자,
정비인 여후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우여곡절 끝에 황제가 된다.
그가 혜제(惠帝)다.
여후는 마음 약한 혜제를 대신하여 거의 전권을 휘두르며 국정을 농단하였다.
혜제는 여후의 패악질에 세상에 뜻을 접고 주색으로 일관한다.
여후는 권력을 잡자 유방의 살아 생전 애비(愛妃)였던 척부인을 팔다리 끊고,
눈알을 도려내고, 귀를 자르고, 약을 먹여 벙어리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변소에 넣어두고는 이를 인간돼지(人彘,인체)라 불렀다.
그녀는 혜제에게 이를 보였다고 하는데,
충격을 받은 그는 그 후로 1년간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마음이 약할 뿐만 아니라, 몸도 약한 혜제는 재위 7년만에 죽는다.

당시, 여태후는 이 앞에 곡례(哭禮)를 올렸지만 그 눈에는 눈물이 괴지 않았다.
곡례란 큰 소리로 곡하는 것인데, 그녀는 소리는 내었어도 눈물은 흘리지 않은 것이다.

“왠지 아십니까 ?”

겨우 15살 난 장백강(張辟强, or 彊)이 승상인 진평(陳平)에게 이리 물었다.
장백강은 유방의 일등 책사인 장량의 아들이다.

“모르겠는데, 슬프지 않아서인가 ? 자기 아들의 죽음이....”

“슬프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자기의 친 아들이 죽은 것이 아닙니까 ?
하지만, 지금 태후께서는 슬퍼할 때가 아닙니다.
슬픔보다도 두려움 쪽이 앞섰기 때문입니다.”

“태후께서 무엇을 두려워 하고 계실까 ?”

“천자가 붕어하시고, 새 황제는 아직 어리므로 대신들이 전횡으로
태후를 억압하지 않을까, 그것이 염려되어 슬퍼할 겨를이 없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여후를 안심시키면 될 것이옵니다.”

“어찌 하면 안심시킬 수 있을까 ?”

“... 여씨 일족을 등용하여 병무, 정무를 담당케 하면 태후께서도 안심하실 것입니다.”

승상 진평은 15살 소년이 가르쳐 준대로 했다.
과연 여태후는 안심했는지 비로소 슬픔의 빛을 띠었다.
(※ 실인즉 장량의 속 뜻을, 아들인 장백강의 입을 빌어 폈던 것이리니,
혹간 고사에 등장하는 천재 소년의 경우 이리 후견인을 대신하는 정치적 장치임을 간파하여야 한다.
흔히 일컫는 장자방 즉 장량은 한(漢)나라 설립의 일등 공신이지만,
그는 천하통일 후, 바로 은퇴하여 벽곡하며 도인의 길로 들어선다.
짐작컨데, 토사구팽을 염려하여 짐짓 정치의 세계를 등졌음을 이리 연출한 것이 아니겠는가 ?
그런 그로서는 직접 나설 수 없음이니, 이리 아들을 빌어 우회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으리.)
(※ 일설에 의하면 저 역할은 장백강이 아니라 육가(陸賈)라 한다.)

공포에 사로잡혀 있으면,
희노애락의 감정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

인간의 감각기능, 감정 표출이란 것이 이리도 미덥지 않다.
“악어의 눈물”처럼
“인간의 눈물”도 도무지 믿을 수 없다.
언젠가 모 연예인이 앉은 자리에서 바로 눈물을 떨어뜨리는 연기를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 아니라도,
나는 실제 현실의 현장에서 눈물을 뚝뚝 떨어뜨리는 연출을 목격한 적이 있다.
사실 내용을 아는 나로서는 그 자의 놀라운 거짓 변신에 놀란 적이 있다.
누가 말했던가 ?
눈물처럼 순수한 것이 없다고.
저 깊은 곳으로부터 감정을 길어 올려야 “인간의 눈물”이 나올 수 있다.
그러니 눈물이란 얼마나 진실될까나 ?
이런 생각이 얼마나 터무니 없는 것임을 알아버린 나는
그 날 이후, 세상을 알아 버린 것이 아니라,
정작은 순수한 나를 잃어버리고 말았음이다.

나는 앞의 글 “☞ 2008/02/22 - [소요유/묵은 글] - 링컨의 얼굴”에서
글도, 말도, 얼굴도 믿을 수 없다고 하였다.

남의 신언서판(身言書判)을 믿을 수 없기도 하지만,
나아가, 지금 나는 내 감정, 판단, 의식도 온전히 믿을 수 없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
믿을 수 없기에 불행한 것인가 ?

아니면,
그러하기에 제행(諸行)은 무상(無常)하고, 종내 제법(諸法)은 무아(無我)한가 ?
이런 깨달음에 미칠(及) 수는 없겠는가 ?

무상(無常)이란,
존재의 머무름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또 그런즉 덧없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 자체가 아예 한 순간도 머무르는 바 없이 변화할 뿐인 것임을 설파하고 있다.
환원하면 변화의 실체가 없다는 것이리라.
그러한즉, 무상은 이내 무아(無我)라 하지 않을 수 없음이다.
이를 깨닫는다면,
종내 무욕(無慾)하지 않을 수 없을 터.

이에 이르러 두연히, 서산대사의 임종게 중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이 말이 떠오른다.

제법(諸法)은 뜬구름 같이 본래 實이라 할 것이 없은즉,
인생이라 그와 무엇이 다를런가 ?

무욕하기에 이제 비로소
대의(大疑),
대신(大信),
대분(大憤)할 수 있음이리니 ...

그러하기에,
내가 곧잘 분노와 슬픔을 함께 하고,
소요유하는 까닭임이니.

분노와 슬픔은 내겐 소요유함의 외적 형식임이라.

'소요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富와 貴  (6) 2008.06.27
성황당(城隍堂)  (3) 2008.06.22
찔레꽃  (7) 2008.06.07
interrupt & poll  (0) 2008.06.05
낙석주의와 나의 판타지  (0) 2008.05.26
텃밭 유감  (0) 2008.05.23
Bongta LicenseBongta Stock License bottomtop
이 저작물은 봉타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행위에 제한을 받습니다.
소요유 : 2008. 6. 7. 1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