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장 봉테크(棒 Tech) - 14
주식/봉도표 : 2008. 4. 29. 08:30
이제부터 실전 사례를 검토하여 본다.
[그림 제11장-39]를 보면 ⓐ에 역우산형, ⓑ에 절입선이 나타나고 있다.
제 제10장장(봉형 인식)에서 검토하였듯이 역우산형의 평균적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을, 절입선은 V자형을 나타낸다.
ⓐ역우산형의 경우 봉형 출현 당일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전후일의 거래량은 이보다 훨씬 적다. 이는 역우산형이 나타난 날 대량의 거래량이 수반되며 상승 에너지가 마지막으로 모두 소모되었음을 의미한다.
ⓑ절입선의 경우를 보면 절입선의 두번째 날인 양봉 출현일까지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줄었으나, 익일 양봉 출현과 더불어 거래량이 늘었다.
ⓑ절입선의 두번째 날인 양봉 출현일의 경우 평균적 거래량은 첫번째 날인 음봉보다 큰 것이 보통이다. 본사례의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오히려 적다. 이로 미루어 양봉일의 상승력이 다소 미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연 절입선 이후 단 이틀만 양봉이 나타나며 상승하였을 뿐, 상승세가 곧 멈추고 말았다.
또 다른 예인 [그림 제11장-40]을 보자.
ⓐ(음)포옹선의 경우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으로 평균적 거래량 패턴과 같다.
ⓑ망치형의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으로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V자형과는 정반대이다. 반전과 동시에 거래량이 늘어나야 상승세가 안정적으로 펼쳐질 터인데, 그렇지 못하여 크게 오르지 못하였다.
ⓒ역망치형의 거래량 패턴은 우상향이어서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V자형과 다르나 거래량이 후반에 지속적으로 느는 양상은 같다. 실제의 예에서는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음)포옹선의 거래량은 좌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역V자형과 같지 않으나 거래량이 후반에 줄어드는 양상은 같다.
다음은 거래량에 관한 기술적 지표로 유명한 OBV(On balnace volume)와 함께 봉도표를 검토하여 보자. OBV는 그랜빌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날의 거래량은 더하고, 하락하는 날의 거래량은 빼는 작업을 누적적으로 행하여 얻어지는 지표이다. OBV를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한가지는 주가와 함께 추세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즉 주가가 오르며 OBV도 함께 증가하는 경우는 강세로, 반대로 주가가 내리며 OBV도 함께 하락하는 경우는 약세로 보는 방법이다.
OBV는 또한 보합권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예컨대 주가는 별로 변하지 않는데, OB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소위 축적(accumulation)이라 하여 상승 에너지가 비축되는 것을 뜻하며 향후 주가 상승을 예고한다.
반대로 주가 수준이 별로 변하지 않는데, OBV가 감소하고 있으면 분산(distribution)이라 하여 에너지가 약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
[그림 제11장-41] 을 보면 ⓐ역잠자리가 나타나 상승 반전을 예고하고 있는데 OBV는 아직도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어 신호가 늦다.
ⓑ(음)포옹선의 시점에서는 OBV도 하락세로 바뀌고 있어 거의 같은 시점에서 동일한 신호를 발하고 있다.
ⓒ(양)잉선이 나오기 전은 9월이래로 주가가 보합대에 갇혀 있었으나 OBV는 지속적으로 저점이 높아지고 있어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었다. 다만 축적기간 이탈이 OBV상으로는 ⓒ이후 이틀 정도 지나서야 전고점을 상향 돌파하여 명확해지나 봉도표상으로는 축적기간 중이지만 앞서서 (양)잉선이 나타나고 있다.
결론
봉도표는 諸기술적 분석 지표(또는 기술)와 함께 어울려 그 기술적 분석 지표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지표 고유의 특징적인 기능이 안정성 있고, 보다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림 제11장-39]를 보면 ⓐ에 역우산형, ⓑ에 절입선이 나타나고 있다.
제 제10장장(봉형 인식)에서 검토하였듯이 역우산형의 평균적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을, 절입선은 V자형을 나타낸다.
ⓐ역우산형의 경우 봉형 출현 당일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전후일의 거래량은 이보다 훨씬 적다. 이는 역우산형이 나타난 날 대량의 거래량이 수반되며 상승 에너지가 마지막으로 모두 소모되었음을 의미한다.
ⓑ절입선의 경우를 보면 절입선의 두번째 날인 양봉 출현일까지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줄었으나, 익일 양봉 출현과 더불어 거래량이 늘었다.
ⓑ절입선의 두번째 날인 양봉 출현일의 경우 평균적 거래량은 첫번째 날인 음봉보다 큰 것이 보통이다. 본사례의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오히려 적다. 이로 미루어 양봉일의 상승력이 다소 미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연 절입선 이후 단 이틀만 양봉이 나타나며 상승하였을 뿐, 상승세가 곧 멈추고 말았다.
또 다른 예인 [그림 제11장-40]을 보자.
ⓐ(음)포옹선의 경우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으로 평균적 거래량 패턴과 같다.
ⓑ망치형의 거래량 패턴은 역V자형으로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V자형과는 정반대이다. 반전과 동시에 거래량이 늘어나야 상승세가 안정적으로 펼쳐질 터인데, 그렇지 못하여 크게 오르지 못하였다.
ⓒ역망치형의 거래량 패턴은 우상향이어서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V자형과 다르나 거래량이 후반에 지속적으로 느는 양상은 같다. 실제의 예에서는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음)포옹선의 거래량은 좌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평균적 거래량 패턴인 역V자형과 같지 않으나 거래량이 후반에 줄어드는 양상은 같다.
다음은 거래량에 관한 기술적 지표로 유명한 OBV(On balnace volume)와 함께 봉도표를 검토하여 보자. OBV는 그랜빌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날의 거래량은 더하고, 하락하는 날의 거래량은 빼는 작업을 누적적으로 행하여 얻어지는 지표이다. OBV를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한가지는 주가와 함께 추세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즉 주가가 오르며 OBV도 함께 증가하는 경우는 강세로, 반대로 주가가 내리며 OBV도 함께 하락하는 경우는 약세로 보는 방법이다.
OBV는 또한 보합권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예컨대 주가는 별로 변하지 않는데, OB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소위 축적(accumulation)이라 하여 상승 에너지가 비축되는 것을 뜻하며 향후 주가 상승을 예고한다.
반대로 주가 수준이 별로 변하지 않는데, OBV가 감소하고 있으면 분산(distribution)이라 하여 에너지가 약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
[그림 제11장-41] 을 보면 ⓐ역잠자리가 나타나 상승 반전을 예고하고 있는데 OBV는 아직도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어 신호가 늦다.
ⓑ(음)포옹선의 시점에서는 OBV도 하락세로 바뀌고 있어 거의 같은 시점에서 동일한 신호를 발하고 있다.
ⓒ(양)잉선이 나오기 전은 9월이래로 주가가 보합대에 갇혀 있었으나 OBV는 지속적으로 저점이 높아지고 있어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었다. 다만 축적기간 이탈이 OBV상으로는 ⓒ이후 이틀 정도 지나서야 전고점을 상향 돌파하여 명확해지나 봉도표상으로는 축적기간 중이지만 앞서서 (양)잉선이 나타나고 있다.
결론
봉도표는 諸기술적 분석 지표(또는 기술)와 함께 어울려 그 기술적 분석 지표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지표 고유의 특징적인 기능이 안정성 있고, 보다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주식 > 봉도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문헌 (0) | 2008.05.01 |
---|---|
제 12장 결론 (6) | 2008.04.30 |
제 11장 봉테크(棒 Tech) - 13 (0) | 2008.04.28 |
제 11장 봉테크(棒 Tech) - 12 (0) | 2008.04.26 |
제 11장 봉테크(棒 Tech) - 11 (0) | 2008.04.25 |
제 11장 봉테크(棒 Tech) - 10 (0) | 200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