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ta      

제 10장 봉형 인식 - 2

주식/봉도표 : 2008. 3. 26. 08:30


발생 빈도별 봉형의 유형별 특징

구체적인 시장에서 특정 유형의 봉형이 어떤 조건하에서 어느 정도 출현하는가를 통계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日棒 기준, 全종목 대상 )

단일봉

단일봉은 양봉 26종, 음봉 26종, 무기봉(시종동가형) 16종 도합 68종의 타입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상승기, 하락기, 지표필터링 등의 각종 제한 조건별로 일정 기간 후(30일 제시)의 수익률을 조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체는 대봉(大棒), 중봉(中棒), 소봉(小棒) 등으로, 수염은 장(長)수염, 중(中)수염, 단(短)수염 등으로 구분하여 그 대강을 제시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a. 발생빈도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 추세 상승기에는 시종동가선(일자형)의 출현이 가장 많았다.
 ◎ 이어 ㉠민대머리 대양봉, ㉡민대머리 중대양봉, ㉢민대머리 중양봉의 순으로 출현 빈도가 많았다.
 ◎ 반대로 상승기 중에 가장 출현 빈도가 낮은 봉형은
        위아래 극소 단(短)수염을 가진 대음봉 또는 대양봉이었다.
 ◎ 추세 하락기에도 시종동가선(일자형)의 출현이 가장 많았다.
     이어 ㉠민대머리 중음봉, ㉡민대머리 중대음봉, ㉢민대머리 대양봉의 순으로 출현 빈도가 높았다.
 ◎ 반대로 하락기 중에 가장 출현 빈도가 낮은 봉형은
        위아래 극소 단(短)수염을 가진 대음봉 또는 대양봉이었다.
 ◎ 종합적으로 볼 때, 시종동가형(일자형)이 상승기나 하락기 구별 없이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이 형은 상한가, 하한가, 무거래(無去來), 기세 등의
        다양한 발생 요인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이를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 ◎ 상승기나 하락기 모두 수염이 없는 민대머리형의 발생 빈도가 수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상승기나 하락기를 불문하고 민대머리 봉형이 추세 진행을 주도하고,
        수염형은 변화를 주관한다는 이론에 부합되는 결과라 하겠다. 

b. 수익률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 추세 상승기 중에 일정 기간 후에 수익률이 가장 높은 봉형은
        위아래로 단(短)수염을 가진 음의 대봉 또는 양의 대봉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발생 빈도가 작으므로 통계적 유의성이 적다.
    ◎ 그 다음으로 높은 수익률을 보인 봉형은 ㉠윗 단(短)수염을 가진 음의 중대봉,
        ㉡윗 장(長)수염을 가진 시종동가형, ㉢윗 중(中)수염 가진 음의 중봉, 또는 양의 중봉 순이었다.
 ◎ 상승 추세 중에 가장 수익률이 낮은 봉형은
        위아래 같은 길이의 중(中)수염을 가진 시종동가선이었다.
 ◎ 추세 하락기 중에 수익률이 가장 낮은 경우(즉 마이너스 수익률)는
        아랫 단(短)수염을 가진 음의 대봉이었다.
 ◎ 그 다음으로 낮은 수익률을 보인 형은 ㉠아랫 중수염을 가진 양의 중봉,
         ㉡위아래로 극소 단수염을 가진 양의 대봉, ㉢ 아랫 장(長)수염을 가진 양의 소봉 순이었다.
 ◎ 하락 추세 중에 가장 수익률이 높은 봉형은 위아래 또는 윗 단(短)수염을 가진 음의 대봉이었다.
 ◎ 종합적으로는 대봉의 경우 추세를 이끄는 작용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위아래 같은 길이의 수염을 가진 시종동가형 즉 십자형이 상승기에 나타났을 때
        수익률이 제일 낮다는 것은 이론대로 불확정, 미결, 망설임의 의미가 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익률 상위 그룹에 윗 수염이 많고,
        하위 그룹에 아랫 수염이 많은 점은 기존의 상식과 반대이다.
        즉 아랫 수염이 위로 주가를 받쳐주고, 윗 수염이 주가를 아래로 압박한다는
        소박한 상식에 반하는 결과라 하겠다.
        이는 윗 수염이 표면적으로는 매도세가 우세한 것을 상징하나,
        내면적으로는 매수세가 장중에 출동(존재)하였었다는(비록 실패하였지만) 사실
        또한 중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특히 상승기에는 이 잠재적 매수세가 역으로 반등의 탄력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음양의 표리관계(表裏關係) 참조 ]
        마찬가지로 아랫 수염의 경우도 표리(表裏)가 다른 까닭에
        하락기에 하락률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상기 수익률 분석은 상승기, 하락기 만으로 구분한 것이기 때문에
        평균적인 결과만을 보여줄 뿐이다.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는 상승기, 하락기를
        각각 초기 중기, 말기 등으로 세분하여 조사해야 할 것이다.

이련봉(二連棒)

음양, 양음, 음음, 양양 일련의 2봉 결합 형태에 대해 단일봉과 같은 분석을 행하였다.
조합에 따라 총 4860종의 봉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그림 제10장-3]참조 )

사용자 삽입 이미지

a. 발생빈도별 분석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추세 상승기에는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14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 ◎ 이어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1형,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6형,
        ㉢대양봉+중소음봉의 제1형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
 ◎ 추세 하락기에도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14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 ◎ 이어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6형, ㉡중소음봉+중소음봉의 제1형,
        ㉢중소음봉+대양봉의 제15형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
 ◎ 연이은 이련봉은 중소음봉이 엇비슷하게 중첩되거나, 상하간 갭을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하겠다.
        상승기나 하락기 불문하고, 중소음봉의 출현이 많은 것은
        음양봉의 균형적인 발생(p342 참조)에 비추어 특이한 현상이라 하겠다.

b. 수익률별 분석
    수익률 상위, 또는 하위 순위 안에 드는 것의 발생 빈도가 극히 작아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므로 생략함.

c. 종합
    상승기에 자주 목격되는 (음)장대별 꼴은 극대치에서도 빈도 높게 발견되는 중요한 하락 반전형이다.
    (p340 참조 → 제 10장 봉형 인식 - 4)
 또한 하락기에 자주 나타나는 (양)포옹선 꼴은 극소치에서도 빈도 높게 목도되는 상승 반전형이다.
    (p340 참조 → 제 10장 봉형 인식 - 4)
    때문에 자주 출현한다고 소홀히 하지 말고,
    이들 형이 나타날 경우에는 극대나 극소치가 아닌지 예의 주시하는 것이 좋다.
    상승기나 하락기 구분 없이 중소음봉이 높은 발생빈도를 갖는다는 것은 인상적이다.
    결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특히 이들 중 음음 이련봉의 결합 양식 제 14형, 제 1형, 제 6형이
    상승기나 하락기에서 중립적인 성질을 갖고 있지 않나 여겨진다.

'주식 > 봉도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0장 봉형 인식 - 5  (0) 2008.03.29
제 10장 봉형 인식 - 4  (0) 2008.03.28
제 10장 봉형 인식 - 3  (0) 2008.03.27
제 10장 봉형 인식 - 1  (0) 2008.03.25
제 9장 주제별 봉도표 - 7  (0) 2008.03.24
제 9장 주제별 봉도표 - 6  (0) 2008.03.22
Bongta LicenseBongta Stock License bottomtop
이 저작물은 봉타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행위에 제한을 받습니다.
주식/봉도표 : 2008. 3. 26. 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