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ta      

야랑자대(夜郎自大)

소요유 : 2012. 8. 5. 00:39



야랑(夜郎)이란 본디 한(漢)나 서남 변경에 속한 일개 소국을 칭하는 말이다.
당시 서남변 일대엔 전(滇)과 야랑(夜郎)이란 소국이 있었다.
이들 국가의 면적은 대략 한나라의 일개 군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일컫자면 그저 콩알 만한 국가에 불과했다.
하지만 국왕은 자기 나라가 천하제일의 큰 대국이라고 생각했다.

한 번은 한나라에서 파견된 사신이 이들 두 나라를 방문했다.
이들 왕들은 과시 하늘은 높고 땅이 두터운 바를 몰랐음이라.
不知天高地厚
저들이 한나라 사신에게 묻는다.

“한나라와 우리나라를 비교하건대 도대체 어느 나라가 큰가?”

저들은 전에 한나라를 접촉한 바도 없고,
다만 자기 나라만인 제일 큰 줄 알았더라.
도대체가 한나라가 얼마나 크고 광활한 줄을 몰랐음이라.

***

내가 이곳 시골 촌에 들어오니,
여기 기왕에 자리 잡고 있던 좁쌀뱅이들이 그야말로 不知天高地厚인 바라,
하늘이 얼마나 높고, 땅이 어떻게나 두터운지를 모르고 있음이라,
다만, 자신들이 천하에 제일 높고 두터운 줄로만 알고 있더라.

장자에 나오는 말씀이다.

“吾不知天之高也,地之下也。”

공자가 곤경에 처했음인데,
공자는 여전히 의연하여 금(琴)을 타고 노래를 부르신다.
이에 제자들이 불평불만을 늘어놓는다.
이 때 공자가 한 말씀 내린다.

天寒既至,霜露既降,吾是以知松柏之茂也。

날씨가 차가와지고 서리가 내릴 때라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을 알게 된다.

이리 말씀하시면서 다시금 금(琴)을 타고 노래를 하신다.

이러자 자공이 일어나 부끄러워하며 탄식하며 가로되,

“吾不知天之高也,地之下也。
古之得道者,窮亦樂,通亦樂。
所樂非窮通也,道德於此,則窮通為寒暑風雨之序矣。
故許由娛於潁陽,而共伯得乎共首。 ”

“나는 하늘은 높고, 땅은 낮은 것을 알지 못하였음이라,
옛 도를 얻은 분들은 궁한 가운데 이를 즐기셨고,
통한 가운데서도 이를 즐기셨다.
이리 즐기심은 궁하고 통함이 아니심이라.
만약 도덕이 여기에 있다면,
궁하고 통함은 마치 춥고 덥고 바람 불고 비가 오듯 함이라,
고로 허유는 영수가에 살면서 즐기었고,
공백은 공수산에 살면서 자득하였음이라.”

연작이 어찌 홍곡의 뜻을 알랴?

연작안지홍곡지지(燕雀安知鴻鵠之志)

촌놈들이 정인군자를 어찌 알리.

위 말씀들은 기실 찌질이들에겐 천둥, 벼락같은 것이다.
쥐뿔도 없는 것들이 오로지 다만 먼저 터 잡고 있다는 것 하나로,
면목을 닦고, 갈기를 내세우고 있음이라.
과시 가소롭기 짝이 없는 정경인 게라.

그러함인데,
아직도 저들은 자기가 세상에서 제일 잘 난줄 안다.
인구 3만 여 남짓.
그러함인데 세상 밖 한 번도 나아가지 못한 치들이,
이게 전 우주인줄 안다.
세상이 얼마나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

정저와(井底蛙)라,
우물 속에 갇힌 개구리가 어찌 대해(大海)를 알랴?

좁은 우물가 안에서,
제 이불 속에서,
이게 천하가 다인 줄 알았을 테다.

하지만, 앞으론 미처 제대로 알지 못하였음으로 인해,
곱쟁이로 셈을 치루는 일만 남았음을 저들은 행여 알까?

一飯之德必償, 睚眦之怨必報

범수(范睢)의 이 말씀은,
내 진작 여기 소개하였음이라.
(※ 참고 글 : ☞ 2008/02/19 - [소요유] - 애자지원필보(睚眦之怨必報))

우리네 법가에 속해 이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결단코 공연한 시비를 일으키지 않지만,
남이 청해오는 시비에 대하여는 한 낮 햇빛처럼 밝디밝디 밝혀 기어코 그 끝을 내고야 만다.
결코 사양하는 법이 없다.

'소요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 촌것  (4) 2012.08.07
육추(育雛)  (2) 2012.08.05
  (2) 2012.08.05
닭 집단 폐사에 대하여.  (5) 2012.08.04
大黑天  (0) 2012.07.28
빵에 침 바르면 네 것도 내 것이다.  (0) 2012.07.28
Bongta LicenseBongta Stock License bottomtop
이 저작물은 봉타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행위에 제한을 받습니다.
소요유 : 2012. 8. 5. 00:39 :